의료정보

전화 문의 안내

02-930-0925

평일 09:30 ~ 18:00

목요일 14:00 ~ 18:00

토요일 09:30 ~ 15:00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목요일:오전휴진

칼럼

HOME > 의료정보 > 칼럼

제목

불임, 30대 후반~40대 초반 증가율 높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천명에서 2012년 19만1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11.8%, 여성 2.5%로 남성에서 크게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남성에서 불임이 크게 증가한 이유에 대하여 “과거에는 불임을 모두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려는 사회적 풍조가 있었으나 불임의 원인 제공은 남성인자도 분명히 있는 바,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불임 치료를 받는 남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생각하고 있는 부부

또한 “업무 스트레스,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인자의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남성인자 검사 전 약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과거 정자의 운동이 좋지 않았던 경우도 회복되어서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가임 여성(20~49세)의 나이를 고려하여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35~44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6.2%) 했고, 그 뒤를 이어 45~49세에서 연평균 12.8% 증가했다.

여성은 35~39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10.8%) 했고, 그 뒤를 이어 40~44세에서 연평균 10.5% 증가했다.

2012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5~39세 여성이 1,920명, 25~29세 여성이 1,352명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후반, 40대 초반에서 불임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하여 정재은 교수는 “결혼 시기가 30대 초반 이후로 늦추어지고, 사회적 기반을 잡은 후 본격적으로 임신을 시도하는 시기가 30대 중반으로 늦춰지는 경향이 있다.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는 35세 이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20대에서 불임이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측하기로는 결혼 적령기가 20대 중반이 아닌 30대 초반으로 고령화되며, 20대에 사회적 기반을 잡기 위하여 임신을 미루는 상황에서 불임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불임의 정의, 원인, 치료법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불임이란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일상적인 성생활을 1년 이상 지속해도 임신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한다.

불임의 원인은 남성적 요인으로 유전적 문제, 호르몬 이상, 무고환증, 정계정맥류, 고환염 등 고환 질환이 있으며 여성적 요인 유전적 문제(터너 증후군), 항암치료, 조기난소·부전 등 난소 기능 저하, 다낭성 난포 증후군 등 배란 장애. 골반염 등으로 인한 난관 손상, 자궁경관 또는 면역학적 요인, 자궁 근종, 자궁 선근증 등 자궁 인자, 면역학적 이상, 감염, 전신적 질환 등이 있다.

난자의 배란과 정자 기능에 이상이 없으나 수정이 안 되는 경우,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요인에 의한 불임등 검사 혹은 수치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불임의 예방과 치료법으로는 원인에 대한 각각의 치료를 시행한다. 원인이 진단된 경우에는 치료가 분명하게 진행되지만, 원인 불명의 불임도 많게는 20%까지 보고되고 있는 바, 불임의 기간이 길어지면 배란일 확인, 인공 수정, 시험관 아기 시술 등의 적극적 치료를 모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